PMP준비과정은 영어를 학문적으로 사용하는 능력이 요구되는 PMP본과정을 잘 소화하기 위해 거치는 또 한번의 준비과정으로서, 아카데믹영어 뿐 아니라 자기소개서(Personal Statement)와 영문이력서(C.V.) 등 대학원 지원을 위한 필수 서류준비를 시작하고 학교와 전공 등 지원에 필요한 조언을 미리 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습니다.
PMP본과정은 연구방법론(Research Methodology)과 아카데믹 영어(EAP)가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진행됩니다.
아카데믹영어(EAP)를 통해 인용, 참조, 표절, 노트테이킹, 발표기술, 논문방법 등을 배우고 연습하며 응용하여 실제 대학원 학업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리서치방법론(Research Method)에서는 정량/정성 방법론을 비롯해 대학원에서 다룰 분야의 논문과 연구의 방향성을 설정하고 타임라인을 기획해 봅니다. 기 발표된 논문들을 통해 하나의 관점이 학문적으로 접근되고 그것이 근거와 깊이로 서술되는 예시들을 살펴보며, 본인의 연구분야에 대한 논문제안서(Research Proposal)에도 그 스킬을 응용해보게 됩니다.
해외 대학원에서는 방대한 양의 자료를 조사, 분석, 실험하고 프레젠테이션과 그룹 토론, 그리고12,000~20,000단어 길이의 논문(석사기준)을 작성할 수 있을 학문적, 전문적 역량이 요구됩니다. 한국과 달리 영국은 계열에 관계없이 에세이작성이 많이 요구되며 논문을 작성해야 학사졸업이 이뤄지므로, 글쓰기 경험이 상대적으로 적은 한국대학 졸업생들이 해외 대학원을 성공적으로 졸업하기 위해서는 익숙하지 않은 다양한 고급 학업스킬을 익힐 필요가 있습니다. 이미 한국에서 논문작성 경험이 있는 석사졸업생들도 한국대학과는 아카데믹 에세이 스타일과 구조가 다른 부분이 많아 새롭게 배워나가게 됩니다.